사회에서 성대를 SKY와 동급으로 인정하는 이유
- 재학생들의 성과는 어떻습니까.

“학생들은 학교내외에서 다양한 동아리활동과 봉사활동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미래에 필요한 인재로 성장하는 한편
대학입시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고 있습니다.
지난 6년 동안 소위 SKYS 라고 하는 서울대, 고대, 연대, 성균관대에 합격한 학생은 매년 평균 210명에 이르며
카이스트, 포항공대에도 많게는 40명 이상 합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입시결과 때문에 상산고가 입시위주의 교육을 한다고 하는데,
그동안 실행해온 대학입시와 관련이 없는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보면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 전북일보(http://www.jjan.kr)

------------------------------------------------------------------------------------------------------

고려대 동문회장, '요즘 시중에서 SSYK 라고 한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411010495631933


-------------------------------------------------------------------------------------------------------


서울대 로스쿨의 뒤를 이어 상대적으로 높은 합격률을 기록한 곳은 연세대 75.82%(153명 응시, 116명 합격), 성균관대 75.3%(166명 응시, 125명 합격), 고려대 73.51%(151명 응시, 111명 합격) 등이다.

합격률 순위 : 서울대 - 연대 -성대

합격자 순위 : 서울대 - 성대 - 연대

출처 : 법률저널(http://www.lec.co.kr)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8815 


------------------------------------------------------------------------------------------------------


4bba23b96256c691c9ec8755023652f4.jpg


-------------------------------------------------------------------------------------------------------



2020-09-15 20:11:03

[익명1] 전북일보 기사는 도대체 몇 번 복붙하시는 겁니까..